문제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
N이 주어졌을 때,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의 사이클 길이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6
예제 출력 1
4
예제 입력 2
55
예제 출력 2
3
예제 입력 3
1
예제 출력 3
60
예제 입력 4
0
예제 출력 4
1
tmp = inp = int(input())
count = 0
while True:
ten = tmp // 10
one = tmp % 10
res = ten + one
count += 1
tmp = int(str(tmp%10) + str(res%10))
if (inp == tmp):
break
print(count)
알았던 내용
몰랐던 내용
수를 쪼개는 방법은 split()으로 하면 된다는 것을 알았는데, split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나눠진 수를 다시 조합해서 결과값과 다시 조합하는 과정이 쉽게 떠오르지 않았다..
//을 통해 가장 높은 자리 수를 저장하고, %를 통해 가장 낮은 자리 수를 저장해준다. 그리고 두개를 더해주고
카운트를 1로 높여준다. 그리고 새로운 조합을 만들어 기존에 있던 수 inp와 일치시킨다. 일치할 경우 break
배운 내용
tmp = inp = int(input()) 이렇게 함으로써 입력 값에 변수 두개를 설정하여 필요한 입력 값 마다 그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