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그룹 단어란 단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에 대해서, 각 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만을 말한다. 예를 들면, ccazzzzbb는 c, a, z, b가 모두 연속해서 나타나고, kin도 k, i, n이 연속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이지만, aabbbccb는 b가 떨어져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가 아니다.
단어 N개를 입력으로 받아 그룹 단어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 N이 들어온다. N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단어가 들어온다. 단어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되어있고 중복되지 않으며, 길이는 최대 100이다.
출력
첫째 줄에 그룹 단어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happy
new
year
예제 출력 1
3
예제 입력 2
4
aba
abab
abcabc
a
예제 출력 2
1
n = int(input())
group_word = 0
for _ in range(n):
word = input()
error = 0
for index in range(len(word)-1): # 인덱스 범위 생성 : 0부터 단어개수 -1까지
if word[index] != word[index+1]: # 연달은 두 문자가 다른 때,
new_word = word[index+1:] # 현재글자 이후 문자열을 새로운 단어로 생성
if new_word.count(word[index]) > 0: # 남은 문자열에서 현재글자가 있있다면
error += 1 # error에 1씩 증가.
if error == 0:
group_word += 1 # error가 0이면 그룹단어
print(group_word)
아래 코드는 런타임 에러가 뜨지만, 짧은 코드로는 좋은 거 같아서 참고용으로 올린다.
n = input()
count = 0
for i in range(n):
word = input()
for j in range(len(word)):
if j != len(word) - 1:
if word[j] == word[j + 1]:
pass
elif word[j] in word[j + 1:]:
break
else:
count += 1
print(count)
알았던 내용
몰랐던 내용
더블 if문에 대한 완벽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인 거 같다. 그리고 if 자체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고 느낌. 왜냐하면, 단번에 쓰임이 생각나지 않을 뿐더러, elif를 적재적소에 배치해야하는 원리나 원칙의 패턴이 아직 눈에 보이지가 않기 때문이다.
0을 표현하는 것을 break나 pass로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깊다. 꼭 써먹어봐야겠다 .
배운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