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5 구구단을 end="" 기능을 사용하여 세련되게 구현하는 방법? for i in range(2, 10): for j in range(1, 10): print(i * j, end=" ") # 한줄로 2~9단까지 출력이 되는 것이고 print('') # 단 수마다 한 열씩 차지하열 보기 좋게 구현되는 것. 왜냐, j for문은 i의 한 수를 나열해주는 것이고 이어서 i가 새로운 수를 내면 그에 따라 이어서 나열해주는 것이기 떄문이다. 여기서 눈 여겨 보아야 할 부분은 바로 end =" " 이것으로 인해 끝없이 나열될 수 있었던 결과 값이 한 열에 전부 담길 수 있었고 이어서 print(' ')로 인해 희망하는 열에 결과값을 출력할 수가 있어 관상적으로 훨씬 나아졌다. 2021. 1. 26. 백준의 2742번 for문 내에 사용되는 range()함수의 또 다른 계산방식 2742번 for문을 활용한 1 ~ N까지 출력을 요하는 문제이다. for문에서 사용되는 i의 경우, 다른 설정이 없는 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출력되는데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출력되게 하고싶을 땐 새로운 방식이 추가가 되어야한다. range() 방식에는 두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출력 내용을 다르게 하고싶을 때의 range는 조금 다르다. range(start, end, step)의 과정을 거친다. 가령, 5 4 3 2 1 을 출력하고 싶다면? n = int(input()) for i in range(n, 0, -1) print(i) 를 사용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럼 위에 보이는 코드처럼 출력문이 5 4 3 2 1 로 떨어질 것이다. 2021. 1. 26. for 문 중 sys.stdin을 통한 하나의 고찰 리스트 생성 방법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하게 되었다. 기존에 주구장창 사용했던 input의 대체를 넘어 수많은 사람들이 이미 애용하고 있으며, 필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sys.stdin 외부 기능이므로 import 로 불러와야 사용이 가능하며 손 쉽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이들에게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어떤 부분이 장점이 있어서 그 만큼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일까? 바로 예를 들어보도록 하자. # 해설은 아래에 별도로 첨부할 것이다. import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a, b = map(int, sys.stdin.readline().rstrip().split()) print(a + b) 이 것이다. Ps. readline은 .. 2021. 1. 26. 이전 1 ··· 16 17 18 19 다음